나는 오랜 시간 동안 내가 스윙을 하면서 상체가 앞으로 나간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다운스윙을 하면서 상체가 먼저 앞으로 나가는 것으로 인해 야기된 문제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먼저 상체가 앞으로 나가니 임팩트 시에 머리를 공 뒤에 두는 것이 힘들어졌고, 그로 인해 임팩트 순간에 시선은 이미 목표물을 향하게 되었고, 상체가 먼저 앞으로 나가면서 상대적으로 팔이 늦게 따라와서 클럽페이스가 열리고, 클럽페이스가 열리니 슬라이스 구질이 많이 나오게 되고, 중심축이 이동을 하니 관성(원심력)이 약해져 거리도 줄게 되는 등등. 내 스윙의 거의 모든 문제점이 상체가 먼저 나가는 것으로 인해 일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곰곰이 생각해보니 상체가 먼저 앞으로 나가는 스윙을 한 이유가 있다. 혹시 나처럼 생각하고 상체를 먼저 앞으로 보내는 스윙을 하는 초보골퍼가 있다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첫 번째, 가장 큰 이유는 체중이동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되었다.
나는 체중이동이란 것이 백스윙 시에 상체를 오른쪽으로 옮기고 다운스윙에서 상체를 왼쪽으로 옮기는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지금 생각하면 정말로 골프에 대해 무지했던 것 같다. 처음에 그렇게 생각을 하고 스윙을 하던 것이 이미 몸에 굳어져서 시간이 흐른 뒤에 ‘스웨이’ 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도, 그것은 나와는 관계없는 스윙의 오류로 치부하고 말았다. 심하지는 않았지만 정작 내가 ‘스웨이’ 라는 것을 하고 있었음에도 말이다.
당시에 내가 알고 있었던 체중이동이 오른발과 왼발에 과도하게 체중을 싣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상체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었다면, 지금은 스윙축을 중심으로 어깨회전을 확실하게 하고 백스윙 시에 오른쪽 다리가 무너지지 않으면 그것으로 체중이동이 저절로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다운스윙에서의 체중이동은 힙턴과도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아직까지는 확실하게 이것이구나 하는 느낌이나 깨달음이 없어서 다음 기회에 언급하기로 한다.)
두 번째, 스윙이 회전운동이라는 개념이 약했다.
스윙이론을 보면 진자운동이론과 회전운동이론이 있다. 나는 지금 이 두 가지의 이론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골프스윙을 만든다고 알고 있는데, 이상하게도 나는 ‘진자운동’ 하면 경사면에서의 진자운동으로 생각되기 보다는 팔로만 왔다 갔다 하는 시계추 스윙이 연상된다. 그리고 그 진폭을 크게 하기 위해 몸(상체)까지도 좌우로 왔다 갔다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시계추 스윙이 연상되다 보니 스윙궤도가 업라이트한 경향도 아주 심했다.
지금은 진자운동이라는 개념보다는 회전운동이라는 개념을 위주로 스윙 한다. 척추를 중심으로 몸이 회전한다는 개념으로 스윙을 하니 어깨회전도 잘 되고, 그로 인해 체중이동도 저절로 되고, 몸통의 꼬임도 느낄 수 있고, 좋은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골프 > 빈스윙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프, 스윙교정의 효과를 최고로 높이려면 (0) | 2011.08.12 |
---|---|
2년 전 태극기 휘날리던 감격을 다시 한번 (0) | 2011.08.12 |
왕초보 골퍼에서 싱글 골퍼로의 골프여정 (0) | 2011.08.10 |
하체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하는 스윙 (0) | 2011.08.09 |
세계적인 골프무대에 한국 샛별이 뜨는가 (0) | 2011.08.08 |